본문 바로가기

전체보기

(448)
[112] C언어 08차시 관계, 논리연산자 1. 부호연산자 가. 기능 +, - 를 변수나 상수의 앞에 사용 변수나 상수의 부호를 변경 단항 연산자(Unary Operator) 나. 사용 예 int a = -10; int b; b = -a; printf("b=%d\n", b); // b=10 2. 증감연산자 가. 기능 ++(증가연산자), --(감소연산자) 변수의 값을 하나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연산자 단항 연산자 앞에 사용하면(전위) 수식의 값은 증가 / 감소된 값 뒤에 사용하면(후위) 수식의 값은 증가 / 감소되기 전(원래) 값 나. 사용 예 int a = 10; printf("a=%d\n", a); // a=10 int b; b = ++a; printf("a=%d, b=%d\n", a, b); // a=11, b=11; b = a++; pri..
[111] 특정 개발 환경을 설치 없이 쉽게 사용하기(파이썬, C언어 설치 없이 사용하기!) 1. 문제 파이썬(인터프리터)이나 C언어(컴파일러)는 pc에 기본적으로 설치 되어있는 프로그램이 아닙니다. 파이썬, C언어로 작성된 코드를 실행시키고 싶다면 개발 환경을 세팅(인터프리터나 컴파일러를 설치)해야 합니다. 그런데 만약 C언어를 (저처럼) 찍먹 해보고 싶거나, 단순한 코드를 테스트해볼 생각이라면 개발 환경을 세팅하는 것은 시간과 노력을 낭비하는 일입니다. 2. 정답 클라우드 서비스가 발달하면서, 미리 개발 환경을 세팅해놓고 클라우드(원격)로 해당 환경을 제공해주는 서비스가 있습니다. 바로 "replit"이나 "구름ide" 같은 서비스들입니다. 3. replit https://replit.com/ Replit: The software creation platform. IDE, AI, and De..
[110] C언어 07차시 수식과 산술 연산자 1. 수식과 연산자의 개념 가. 수식(Expression) 상수, 변수, 연산자의 조합 수식에서 연산자(operator)를 제외한 상수나 변수를 피연산자(operand)라고 함. 수식은 결과 값을 가짐. 나. 연산자 분류 1) 기능에 따른 분류 대입 연산자, 산술 연산자, 부호 연산자, 증감 연산자, 관계 연산자, 논리 연산자, 조건 연산자, 콤마 연산자, 비트 연산자, sizeof 연산자, 형변환 연산자, 포인터 연산자, 구조체 연산자 등 2) 피연산자 수에 따른 분류 단항 연산자: 피연산자의 수가 1개 이항 연산자: 피연산자의 수가 2개 삼항 연산자: 피연산자의 수가 3개 3) 연산자 우선순위(precedence) 2. 산술연산자 가. 정수 연산 1) 산술 연산자 컴퓨터의 가장 기본적인 연산 덧셈, ..
[109] 컴퓨터구조 06차시 정수의 산술연산과 논리연산 1. 2진수의 부호 변환 가. 어떤 수에 대해 2의 보수를 구하면 됨. 나. (예) -19 표현 1) 19를 2진수(8비트)로 표현 19(10) -> 00010011(2) 2) 1의 보수를 구함. 00010011(2) -> 11101100(2) 3) 1을 더함(2의 보수) 11101100(2) -> 11101101(2) -19를 2진수(8bit)로 표현하면 11101101(2)이 됨. 4) 최상위 비트는 부호비트 11101101(2) 는 최상위 비트가 1이므로 음수(+238이 아님) 11101101(2)에 대한 2의 보수는 00010011(2)이므로 -19 확인 2. 2진수의 정수 덧셈 가. 같은 자리의 수끼리 더함. 1) 0 + 0 = 0 2) 0 + 1 = 1 3) 1+ 0 = 1 4) 1 + 1 =..
[108] 컴퓨터구조 05차시 보수의 개념과 정수의 덧셈 1. 보수 개념 가. 수의 분류 나. 보수의 정의 1) 보수(補數, Complementary Number) 상호 보완하는 수, 임의의 수를 보완해주는 다른 임의의 수 https://ko.wikipedia.org/wiki/보수_(수학) 보수 (수학)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보수(補數)는 보충을 해주는 수를 의미한다. 이를테면 1에 대한 10의 보수는 9, 4에 대한 15의 보수는 11의 개념이다. 1에 대한 2의 보수는 1이다. 보수를 이용한 계 ko.wikipedia.org 2) r진법에서 정의되는 보수 (r-1)의 보수와 r의 보수(진보수)가 존재 3) (r-1)의 보수 A라는 수에 B라는 수를 더한 결과값의 각 자리가 (r-1)이 될 때, B를 A에 대한..
[107] 컴퓨터개론 06차시 컴퓨터의 주변기기 1. 입력장치 가. 키보드 PC의 가장 대표적인 입력 장치로서 글자판의 글쇠를 직접 눌러서 데이터를 입력하는 장치로 문자 키패드, 숫자 키패드, 특수키, 기능키 등으로 구성 나. 마우스 그래픽 사용자 환경으로 되어 있는 Windows의 대표적인 입력 장치로 마우스 포인터를 움직여 메뉴나 아이콘을 쉽게 선택하거나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입력 장치 다. 스캐너 텍스트, 그림, 사진 등의 영상 자료를 컴퓨터로 읽어 들이는 입력 장치 라. 디지타이저 그림, 설계 도면, 필기체 문자 등의 아날로그 정보를 디지털 정보로 변환하여 입력하는 장치로서 평면 태블렛(tablet)과 전자펜으로 구성 마. 조이스틱 막대를 상하좌우로 움직여서 스크린 내의 커서의 위치를 조정하는 입력 장치로서 주로 게임용으로 사용 바. 디지털 ..
[106] 컴퓨터개론 05차시 컴퓨터 시스템의 구성 1. 컴퓨터 시스템의 기본 구조 가. 컴퓨터 1) 전자회로와 그 밖의 물리적인 장치들로 이루어진 하드웨어 2) 활용할 수 있는 기본적인 프로그램이나 이에 따르는 기술인 소프트웨어 나. 컴퓨터의 외부 구조 다. 컴퓨터의 내부 구조 1) 중앙처리장치 연산장치 사칙 연산 및 논리 연산을 프로그램의 명령을 실행하기 위한 장치로서 자료의 비교, 판단, 이동, 편집 등을 수행 제어장치 프로그램의 명령을 해석하고 명령에 따라 각 장치의 작업을 지시하고 감독 각종 입출력 장치, 기억 장치, 연산 장치 등의 동작을 제어하며 주기억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해독하고 해독된 명령들을 각 장치에 보내 처리하도록 지시하는 일을 담당 라. 컴퓨터 시스템의 구성 요소 1) 하드웨어 컴퓨터를 구성하는 물리적인 장치들의 집합체를 말하..
[105] 자료구조 06차시 구조체와 재귀호출 1. 구조체 개념 가. 구조체 개념 구조체도 배열처럼 여러 개의 데이터를 그룹으로 묶어서 하나의 자료형으로 정의하고 사용하는 자료형 배열은 같은 자료형 만을 그룹으로 묶을 수 있지만, 구조체는 서로 다른 자료형을 그룹으로 묶을 수 있으므로 복잡한 자료 형태를 정의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됨. 자료를 체계적으로 관리하려면 일정한 단위 형식으로 구성해야 하는데, 이러한 단위 형식을 레코드라고 함. 레코드를 구성하는 하위 항목을 필드라고 함. 레코드가 여러 개 모이면 파일이 됨. 여러 형태의 필드를 묶어 하나의 구성단위 역할을 하는 레코드는 구조체를 사용하여 정의할 수 있음. 즉, 여러 자료형의 필드를 가지고 있는 레코드를 만들 때 구조체를 사용함. 나. 구조체 선언 구조체는 여러 자료형의 변수들을 그룹으로 묶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