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 컴퓨터 공학 공부 (334) 썸네일형 리스트형 [91] 컴퓨터개론 04차시 컴퓨터 데이터 표현 1. 수의 표현과 연산 가. 진법과 수의 구성 1) 10진법 0~9까지 사용하며 10을 한 자리의 기본 단위로 하는 진법 2) 2진법 0과 1의 조합으로 숫자를 표현하는 방법 3) 8진법 0~7까지 수로 표시하는 방법 4) 16진법 0~9까지 그리고 A~F까지를 사용하여 표시하는 진법 https://ko.wikipedia.org/wiki/기수법 기수법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진법은 여기로 연결됩니다. 군사 용어에 대해서는 진법 (군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기수법(記數法, numeral system)은 수를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방법으로, 기수 ko.wikipedia.org 나. 수의 변환 1) 소수의 변환(10진수 -> 2진수) 2) 2, 8, 16진수의 상.. [90] 컴퓨터개론 03차시 컴퓨터의 발전 및 분류 1. 초기의 컴퓨터 발전 가. 초기의 계산기 1) 초기 계산기의 발달 과정 기원전 26세기 - 중국의 주판 1617년 - 네이피어의 봉 1642년 - 파스칼의 톱니바퀴 계산기 1732년~1834년 - 재쿼드의 방직기, 천공 카드에 의해 원하는 색상의 실로 베를 짜도록 하는 장치 1823년 - 배비지의 차분 엔진 1834년 - 배비지의 분석 엔진 1889년 - 홀러리스의 천공 카드 1944년 - 에이킨의 마크-1 개발 2) 고대의 계산 도구 서양에서는 원시적 수준의 주판이 기원전 3000~4000년에 고안됨. 중국의 주판은 기원전 26세기경 개발되어 배우기 쉽고 사용이 용이하여 아시아권에서 널리 이용됨. 3) 네이피어의 봉 스코틀랜드의 귀족이며 자연대수의 창시자인 네이피어가 만든 봉은 곱셈의 계산에 매우 .. [89] 자료구조 04차시 배열 구조의 이해 1. 1차원 배열 가. 배열 같은 자료형을 가진 자료들을 나열하여 메모리에 연속으로 저장하여 만든 자료들의 그룹 요일을 나타내는 월요일, 화요일, 수요일, 목요일, 금요일, 토요일, 일요일을 각각 변수로 선언하면 변수를 일곱 개 만들어 개별적으로 사용해야 함. 하지만 하나로 묶어 배열로 만들면 배열을 한 번만 선언해 만들 수 있고, 각 요일이 배열의 요소가 되어 다루기가 편해짐. 1) 인덱스(Index)란? 배열의 요소를 간단히 구별하기 위해 사용하는 번호 C언어에서 인덱스는 항상 0부터 시작함. 특정 배열 요소를 사용할 경우에는 '배열이름[배열요소의 인덱스]'로 지정하고 변수처럼 사용 가능 모든 자료형은 배열로 구성 가능 구성 형태에 따라 1차원 배열, 2차원 배열, 3차원 배열 등 다차원 배열로도 구.. [88] 자료구조 03차시 추상 자료형과 알고리즘 1. 추상 자료형 가. 뇌의 추상화 기능 기억할 대상의 구별되는 특징만을 단순화하여 기억하는 기능 철수를 기억하기 위해 철수에 대한 모든 정보를 구체적이고 세세하게 저장하기는 어려움. 그 대신 철수를 다른 사람과 구별할 수 있는 철수만의 특징을 찾아서 기억함. 자세하고 복잡한 것 대신 필수적이고 중요한 특징만 골라서 단순화시키는 작업이 추상화 작업임. 나. 컴퓨터를 이용한 문제해결에서의 추상화 크고 복잡한 문제를 단순화시켜 쉽게 해결하기 위한 방법 1) 자료 추상화(Data Abstraction) 처리할 자료, 연산, 자료형에 대한 추상화 표현 2) 자료 프로그램의 처리 대상이 되는 모든 것을 의미 어떤 값(Value) 자체를 의미하기도 함. 3) 연산 어떤 일을 처리하는 과정으로 연산자를 사용하여 수행.. [87] 운영체제 04차시 스레드의 개념 1. 스레드의 개념 가. 개념 프로세스의 특성인 자원과 제어에서 제어만 분리한 실행 단위 프로세스 하나는 스레드 한 개 이상으로 나눌 수 있음. 프로세스의 직접 실행 정보를 제외한 나머지 프로세스 관리 정보 공유 다른 프로시저 호출, 다른 실행 기록(별도 스택 필요) 관련 자원과 함께 메모리 공유 가능하므로 손상된 데이터나 스레드의 이상 동작 고려 같은 프로세스의 스레드들은 동일한 주소 공간 공유 동일 프로세스의 여러 스레드는 코드 영역, 데이터 영역, 운영체제 자원(예: 열린 파일, 시그널)을 공유 프로세스가 다수의 제어 스레드를 가진다면, 프로세스는 동시에 하나 이상의 작업을 실행할 수 있음. 1) 경량 프로세스(LWP, Light Weight Process) 프로세스의 속성 중 일부가 들어있는 것 .. [86] 운영체제 03차시 프로세스의 개념 1. 프로세스의 개념 가. 개념 1) 작업(Job) 실행 프로프로그램과 이에 필요한 입력 데이터의 묶음 컴퓨터에 실행 의뢰되기 전의 상태 2) 프로세스(Process) 커널에 등록된 작업 커널에 등록되어 커널의 관리 하에 들어간 작업 https://ko.wikipedia.org/wiki/프로세스 프로세스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htop을 통해 보이는 프로세스들의 목록. 프로세스(process)는 컴퓨터에서 연속적으로 실행되고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말한다. 종종 스케줄링의 대상이 되는 작 ko.wikipedia.org 3) 작업과 프로세스의 개념 비교 나. 프로세스 정의 실행중인 프로그램(작업) 운영체제에 들어있는 프로세스 제어 블록 PCB 커널에 등록되고 .. [85] 알고리즘 04차시 기본적인 정렬 알고리즘 1. 선택 정렬 가. 정렬(Sorting) 데이터의 순서를 결정하는 것 데이터를 저장하는 위치에 따라 내부 정렬(Internal Sort)과 외부 정렬(External Sort)로 구분 나. 내부 정렬 데이터 양이 적을 때 주기억장치 내에 저장한 자료를 대상으로 정렬하는 방법 정렬할 자료의 양이 적어서 자료 전체가 주기억장치에 저장될 수 있는 경우에는 내부 정렬을 사용하여 자료를 정렬 선택 정렬, 버블 정렬, 삽입 정렬, 쉘 정렬, 퀵 정렬 등 다. 외부 정렬 입력의 크기가 주기억 장치 공간보다 큰 경우 보조 기억 장치에 있는 입력을 여러 번에 나누어 주기억 장치에 읽어 들인 후 정렬하여 보조 기억 장치에 다시 저장하는 과정을 반복 라. 정렬 알고리즘의 복잡도 대부분 \(O(n^{2})\)과 \(O(n\.. [84] 알고리즘 03차시 점화식과 점화식의 점근적 분석 1. 알고리즘과 문제 해결 가. 문제해결 전략 주어진 조건에 맞추어 다각도로 문제에 접근 문제를 철저히 분석 그림을 그리거나, 식을 만들거나, 또는 규칙 찾기 조건에 따라 거꾸로 생각해보기 단계적으로 생각하기(알고리즘) 2. 점화식 가. 점화식(Recurrence Relation) 어떤 함수를 자신보다 더 작은 변수에 대한 함수와의 관계로 표현한 것 자기호출을 사용하는 함수(재귀)의 복잡도를 구하는데 유용함. 수열은 원소들을 일정한 순서로 나열한 형태로 표현하는데 이러한 원소들 사이에는 일정한 규칙이 있을 수 있고 원소들의 나열 대신 이 규칙으로 표현하는 것도 점화식임 https://ko.wikipedia.org/wiki/점화식 점화식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전 1 ··· 36 37 38 39 40 41 4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