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 컴퓨터 공학 공부 (334) 썸네일형 리스트형 [124] 컴퓨터개론 08차시 운영체제의 종류 1. DOS와 Windows XP 가. DOS(Disk Operating System) 1) DOS의 배경 • 대표적인 단일 사용자, 단일 태스크의 운영체제 • MS의 MS-DOS, IBM의 PC-DOS 등 • 지금은 거의 사용하지 않지만, 현재 쓰고 있는 Windows 시리즈에 많은 영향을 줌. 2) DOS의 특징 초기의 IBM PC를 위해 만들어진 운영체제 텍스트 기반의 명령어를 직접 입력하는 방식으로 작동 저용량 PC를 기준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속도가 다른 운영체제에 비해 빠른 장점을 가짐. 하지만 사용자가 명령어를 일일이 암기해야 하는 단점이 있음. 나. Windows의 역사 1) 윈도우 마이크로소프트사에서 만든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l) 운영 체제의 이름 2) 버전별 출시 시기 1985.. [123] 컴퓨터개론 07차시 운영체제의 이해 1. 운영체제의 개념 가. 운영체제란 컴퓨터의 주기억 장치 내에 상주하면서 컴퓨터 시스템의 자원들인 중앙처리 장치, 주기억 장치, 보조기억 장치, 입출력 장치, 네트워크 등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운영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해 주는 인간과 컴퓨터 간의 인터페이스 역학을 담당하는 프로그램 운영체제는 부트스트랩 프로그램에 의해 컴퓨터에 적재된 후 컴퓨터 내의 다른 응용 프로그램들을 관리하는 프로그램으로서 통상 약자로 OS라고 하는데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자원들을 관리하고 제어하는 역할을 담당 부트스트랩 프로그램(bootstrap program) 전원을 켜거나 재부팅을 할 때 적재되는 프로그램 일반적으로 펌웨어라고 알려진 ROM 또는 EEPROM에 저장되어 있음. 이 프로그램은 시스템을 모든 측면에서 .. [122] 자료구조 08차시 다차원 배열과 희소행렬 1. 2차원 배열을 이용한 선형 리스트 구현 가. 2차원 배열을 이용한 선형 리스트 구현 1) 2차원 배열을 이용한 구현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분기별 노트북 판매량 표를 2차원 리스트로 만든다고 해보자. [2016~2017년 분기별 노트북 판매량 리스트] 연도 / 분기 1/4분기 2/4분기 3/4분기 4/4분기 2016년 63 84 140 130 2017년 157 209 251 312 이 때 분기와 연도를 모두 표현해야 하므로 순서가 두 종류가 필요함. 따라서 행 인덱스와 열 인덱스가 있는 2차원 배열을 사용 2차원 배열구조를 논리적으로 표현할 때는 행과 열의 구조(2차원)로 나타내지만 실제로 메모리에 저장될 때는 1차원 구조로 저장됨. C언어로 다음과 같이 2차원 배열을 만들고, 표로 도식화 하면 아.. [121] 자료구조 07차시 순차 자료구조와 선형 리스트 1. 순차 자료구조 개념과 선형 자료구조 리스트의 이해 가. 자료의 개념 자료는 구조화하는 방법에 따라 리스트, 스택, 큐, 데크, 트리, 그래프 등으로 나뉨. 이러한 자료구조 유형을 프로그램으로 구현하는 방식에는 순차 자료구조와 연결 자료구조가 있음. 나. 순차 자료구조의 개념 구현할 자료들을 논리적 순서로 메모리에 연속 저장하는 구현 방식 논리적인 순서와 물리적인 순서가 항상 일치해야 함. C 프로그래밍에서 순차 자료구조의 구현 방식을 제공하는 프로그램 기법은 배열 https://ko.wikipedia.org/wiki/배열 배열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컴퓨터 과학에서 배열(영어: array, 配列·排列, 문화어: 배렬)은 번호(인덱스)와 번호에 대응하는 .. [120] 운영체제 08차시 상호배제와 동기화 1. 병행 프로세스 간 상호작용 가. 상호 배제 개념 병행 프로세스에서 프로세스 하나가 공유 자원 사용 시 다른 프로세스들이 동일한 일을 할 수 없도록 하는 방법 읽기 연산은 공유 데이터에 동시에 접근해도 문제가 발생하지 않음. 병행 프로세스간 상호작용 변수나 파일은 프로세스별로 하나씩 차례로 읽거나 쓰도록 해야 하는데, 공유 자원을 동시에 사용하지 못하게 실행을 제어하는 방법을 프로세스 간 동기화라고 함. https://ko.wikipedia.org/wiki/상호_배제 상호 배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두 개의 노드 i와 i + 1이 동시에 제거되면 노드 i + 1은 제거되지 않는다. 상호 배제(相互排除, mutual exclusion, Mutex, 뮤텍스.. [119] 운영체제 07차시 병행 프로세스 1. 병행 프로세스의 의미 가. 개념 운영체제가 프로세서를 빠르게 전환, 프로세서 시간을 나눠 마치 프로세스 여러 개를 동시에 실행하는 것처럼 보이게 하는 것 나. 종류 1) 독립 프로세스 단일 처리 시스템에서 수행하는 병행 프로세스, 다른 프로세스에 영향 주고받지 않으면서 독립 실행 다른 프로세스, 데이터와 상태 공유하지 않고 동작도 재현 가능 주어진 초기값에 따라 항상 동일한 결과가 나옴. 중지 후 변동 없이 다시 시작 가능 독립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프로세스 2) 협력 프로세스 다른 프로세스와 상호작용하며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비동기적 프로세스 제한된 컴퓨터 자원의 효율성 증대, 계산 속도 향상, 모듈적 구성 강화, 개별 사용자의 여러 작업을 동시에 수행하여 편의성 제공에 사용됨. 프로세스 하나가 .. [118] 알고리즘 08차시 이진 탐색 트리 1. 이진 탐색 트리 가. 이진 탐색 트리 탐색 트리의 기본 데이터의 삽입, 삭제, 탐색 등이 자주 발생하는 경우에 효율적인 구조 이진 트리이면서 같은 값을 갖는 노드가 없어야 함. 최상위 레벨에 루트 노드가 있고 각 노드는 최대 두 개의 자식을 가짐. 왼쪽 서브 트리에 있는 모든 데이터는 현재 노드의 값보다 작고, 오른쪽 서브 트리에 있는 모든 노드의 데이터는 현재 노드의 값보다 큼. 모든 서브 트리도 이진 탐색 트리의 성질을 만족해야함. https://ko.wikipedia.org/wiki/이진_탐색_트리 이진 탐색 트리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ko.wikipedia.org 나. 이진 탐색 트리에서의 탐색 데이터 탐색은 루트에서부터 시작됨. 루트 노드의 .. [117] 알고리즘 07차시 순차 탐색과 이진 탐색 1. 레코드, 키의 정의 및 탐색 트리 가. 탐색(검색) 컴퓨터에서 자료를 찾는 방법 기억 공간에 보관 중인 데이터 중에서 원하는 정보를 찾아내는 작업 컴퓨터 안에는 엄청나게 많은 자료들이 있는데 컴퓨터는 자료를 빨리 찾을 수 있도록 일정한 논리 순서에 맞추어 작업을 하는데 이때 필요한 논리 순서가 탐색 알고리즘임. 책에서 어떤 내용을 찾기 위해 페이지를 마구 뒤져야 하지만 색인(ndex)이 있으면 편리하게 책의 해당 페이지를 찾을 수 있음. 엄청난 양의 웹 문서들을 빠른 시간에 검색해주는 구글과 같은 검색 엔진이 대표적인 탐색의 응용 예 탐색의 종류로는 순차 탐색, 이진 탐색 등이 있음. 적절한 자료구조와 알고리즘의 사용은 효율적인 데이터의 저장과 탐색에서 매우 중요함. 데이터의 저장과 검색은 자료구조.. 이전 1 ··· 32 33 34 35 36 37 38 ··· 4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