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6. 컴퓨터 공학 공부

[97] 데이터베이스 06차시 엔티티-관계 데이터모델2

1. 약한 엔티티 타입

가. 약한 엔티티타입(Weak Entity Type)

1) 키 애트리뷰트가 없는 앤티티

존재가 다른 엔티티에 의존

하지만 존재 종속성이 있다고 해서 반드시 약한 엔티티는 아님.

2) 약한 엔티티는 식별 엔티티타입과 식별 관계타입에 참여해야 함.

3) 약한 엔티티들은 다음의 조합에 의해 식별됨.

약한 엔티티타입의 부분 키(Partial key) + 식별 엔티티타입의 키

2. ER 설계의 개선

가.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ER 설계의 개선

초기 엔티티 설계에서 관계를 나타내는 애트리뷰트들을 관계 타입으로 변환하여 개선

각 관계타입의 카디낼러티와 참여 제약은 요구사항들로부터 결정됨.

카디낼러티와 참여 제약이 요구사항들로부터 결정될 수 없다면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의뢰한 고객과 협의해야 함.

나. 재귀적 관계 타입(Recursive Relationship type)

한 개의 엔티티 타입이 어떤 관계 타입에 서로 다른 역할로 중복 참여하는 경우를 의미

ER 다이어그램에서는 이런 참여의 차이를 구분하기 위해 역할 이름을 표기함.

3. 3차 이상의 관계 타입

가. 3진 차수 이상의 관계

1) 2진 관계

차수가 2인 관계 타입을 2진 관계라고 함.

2) 3진 관계, n-ary 관계

차수가 3인 관계 타입을 3진 관계라고 하고, 차수가 n인 관계를 n-ary 관계라고 함.

제약조건의 명시가 2진 관계보다 더 어려움.

3) n-ary 관계와 n개의 이진 관계들 사이의 차이

보통 n-ary 관계는 n개의 이진 관계들과 같지 않음.

3개의 2진 관계가 1개의 3진 관계보다 더 많은 의미를 표현할 수도 있음.

4. 엔티티-관계 다이어그램(ERD)

가. ERD 표기법(P. Chen이 제안)

나. 구조적 제약조건을 위한 또 다른 (min, max) 표기법

관계 타입 R을 기준으로 엔티티 타입 E의 각 참여를 명시

E 내의 각 엔티티 e가 최소한 min만큼 그리고 최대한 max만큼 R 내의 관계 인스턴스들에 참여함을 나타냄.

디폴트 값은 최소값=0, 최대값=n

 

https://ko.wikipedia.org/wiki/개체-관계_모델

 

개체-관계 모델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데이터 모델링 분야에서 개체-관계 모델이란 구조화된 데이터에 대한 일련의 표현이다. 서로 관계된 두 개의 엔티티 "구조"화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데이

ko.wikipedia.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