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6. 컴퓨터 공학 공부

[83] 소프트웨어공학 04차시 프로젝트 관리

1. 프로젝트 관리의 단계

가. 프로젝트란?

1) 프로젝트는 실패하기 쉬운 작업

프로젝트를 어떻게 수행하는 것이 성공의 가능성을 높일 것인가?

2) 프로젝트 관리의 정의

프로젝트의 요구사항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지식, 스킬, 도구 및 기법을 프로젝트 활동에 적용하는 것

"The application of knowledge, skills, tools, and techniques to project activities to meet project requirements"(PMI)

나. 프로젝트 관리의 단계

1) 착수(Initiating)

새로운 프로젝트의 시작을 공식적으로 승인

입안, 발주, 제안, 평가, 협상, 계약으로 이어지는 프로젝트 추진 절차

2) 계획(Planning)

프로젝트에서 수행해야 할 목표 및 범위를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활동을 계획

프로젝트 수행 계획서, WBS 등을 작성

3) 실행(Executing)

프로젝트 자원을 투입하여 계획에 입각한 수행

분석, 설계, 구현, 테스트로 이어지는 SW 개발 과정에 해당

4) 종료(Closing)

프로젝트 산출물의 인수 및 계약의 의무를 종결함.

5) 감시/통제(Monitoring and control)

모든 단계에서 주기적으로 검토 및 시정 조치

별도의 단계는 아님.

2. 프로젝트 8대 관리 영역

가. 범위

프로젝트의 범위 계획, 범위 정의, 작업 분류 체계 작성, 범위 검증, 범위 통제 프로젝트 관리 등

프로젝트 수행을 위해 무엇이 포함되고 포함되지 않았는가를 정의

제품, 프로세스

나. 일정

작업 정의, 작업 순서 배열, 작업 별 자원 산정, 작업 기간 산정, 일정 개발, 일정 통제 등

프로젝트를 적시에 완료하기 위한 방법과 기법의 활용

PERT/CPM(Program Evaluation and Review Technique/Critical Path Method)

https://ko.wikipedia.org/wiki/퍼트

 

퍼트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7개월짜리 프로젝트안의 5개의 이정표(10~50)와 6(A~F)개의 활동이 그려진 PERT 네트워크 차트 계획(혹은 사업) 평가 및 재검토 기술(The Program/Project Evaluation and Review

ko.wikipedia.org

https://ko.wikipedia.org/wiki/크리티컬_패스_분석법

 

크리티컬 패스 분석법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5개의 지점(10에서 50)과 6개의 활동(A에서 F)의 프로젝트를 나타낸 퍼트 그림이다. 이 프로젝트는 두 개의 최장 경로를 가지고 있다: 활동 B와 C, 또 A, D, F – 이로

ko.wikipedia.org

다. 예산

자원 계획, 비용 산정, 비용 예산 및 비용 통제 등

승인된 예산 범위 내에서 프로젝트를 완료할 수 있도록 통제함.

라. 품질

품질 계획, 품질 보증, 품질 관리 등

프로젝트 수행복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품질정책, 목표 및 책임을 결정하는 활동

통제비용(예방비용, 평가비용), 실패비용(내부실패비용, 외부실패비용)

마. 인력

조직 계획, 인적 자원 획득, 프로젝트 팀 확보, 프로젝트 팀 개발, 프로젝트 팀 관리 등

프로젝트는 역할과 책임을 맡은 구성원이 수행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모든 구성원의 프로젝트 참여의식을 높이고 적극적으로 의사결정에 참여할 수 있는 체계를 만드는 것이 필요

바. 의사소통

의사소통 계획, 정보 배포, 진척 관리, 종료 절차 등

프로젝트 이해관계자들에게 다양한 의사소통 채널을 만들고, 적시에 정확한 정보가 생성, 수집, 배포, 저장, 폐기될 수 있도록 보장

의사소통의 형태에 따라 Y자 형, 바퀴형, 일자형, 원형, 스타형 등으로 나뉨.

사. 조달

획득 계획, 공급자 유치 계획, 공급자 선정, 계약 관리, 계약 종료 등

프로젝트 수행에 필요한 제품 혹은 서비스를 외부에서 구매하거나 획득하여 공급하는 업무

아. 위험 관리

위험 관리 계획, 위험 식별, 정성적 위험 분석, 정량적 위험 분석, 위험 대응 계획, 위험 감시 통제 등

프로젝트에 대한 위험을 발견 및 분석하여 대응 계획을 수립하고 수시로 감시 및 통제하는 업무

위험 심각도 계산 방법: 심각도 = 발생가능성 X 영향도

3. 프로젝트 통합 관리

가. 통합의 의미

모든 프로세스들을 통합하여 조정하기 위한 프로세스 및 활동

이해관계자의 기대에 부응

요구사항의 충족

자원배분에 대한 선택

상충되는 목적과 대안들 간의 절충

다른 관리영역들 간의 상호의존성을 관리

나. 통합관리와 8대 관리영역 간의 영향관계

프로젝트 진행 중 새로운 요구사항이 추가로 발생함

범위의 증가는 일정 지연의 원인이 됨(일정)

일정지연을 방지하기 위해서 투입인력을 추가함(예산)

비용의 증가로 인해 일부 품질 저하 초래(품질)

신규 개발장비의 설치가 늦어짐

다른 일정을 조정하여 전체 일정이 지연되지 않도록 조치(일정)

일정 변경에 대한 고객보고 및 협의(추가적인 업무수행 및 시간소모)

다. 통합관리의 중요성

프로젝트 전체의 조화와 균형을 위한 조정작업은 설득과 협상이 필요한 어려운 작업

때로는 이미 결정된 사항을 뒤집어서 새로운 의사결정을 해야하기도 함.

계획의 변경은 여러 이해관계자와의 조율이 필요함.

프로젝트관리자의 주요 역할이기도 함.

라. 프로젝트 실패는 통합관리의 실패

발생할 문제를 미리 예측하여야 함(기술적 문제, 인간적 문제, 환경적 문제 등)

환경의 변화와 프로젝트 내부 상황을 지속적으로 파악해야 함.

대안을 개발하고, 설득해야 함.

발생한 문제는 적극적으로 해겨래야 함.

마. 통합관리

1) 외부적 측면

이해관계자 관리를 통해 프로젝트 외부의 정치적 영향관계를 조정

2) 내부적 측면

변경관리 프로세스를 통해 프로젝트 내부의 모든 변화에 대한 영향관계 조정

바. 소프트웨어 개발과 프로젝트 관리의 통합

소프트웨어 개발 공학적 접근 필요

프로젝트 관리 경영학적 접근 필요

통합을 위한 새로운 개념이 도입되어야 함.

1) 시스템 개념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 관리할 수 있는 공학적 지식을 활용하기 위하여, 다양한 학문분야의 기초원리에 시스템 개념을 적용한 학문이 소프트웨어 공학임.

2) 계층적 분리

단계: 절차적 과정을 나누는 가장 큰 단위

활동: 단계 내부에서 세부적인 수행업무를 다시 나누는 단위

작업: 수행업무의 가장 작은 작업단위

3) 단계와 영역별 프로세스

4) 방법론 테일러링

프로젝트 착수시점에 프로젝트 수행결과에 대한 산출물을 알 수 있도록 함.

5) WBS(Work Breakdown Structure)

WBS의 최하위 단위는 워크패키지(Workpackage)

획득가치 분석(Eamed Value Analysis)

https://ko.wikipedia.org/wiki/업무_분업_구조

 

업무 분업 구조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MIL-HDBK-881의 예. 일반적인 항공기 시스템의 처음 3단계를 묘사한 것.[1] 프로젝트 WBS에 작업 중인 모습 업무 분업 구조(work-breakdown structure, WBS)[2], 작업 분해 구조,

ko.wikipedia.org